한글과 엑셀

한글 문서 프로그램 빨간 줄 없애기(feat. 표 밖으로 커서 빼기)

mizzero 2021. 9. 29. 16:26
728x90
반응형

지난번에는 한글 문서 그림 경로 오류 해결하는 방법을 알아보았는데요. 오늘 한글 문서 프로그램을 사용할 때 생기는 빨간 줄 없애기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한글 문서를 캡처해서 사용해야 할 때 깔끔하게 하기 위해서 반드시 알아야 하는 꿀팁이랍니다.

2021.09.15 - [인터넷다정] - 한글 그림파일 경로 오류 창 해결방법(feat. 한글 2020, 2010)

 

한글 그림파일 경로 오류 창 해결방법(feat. 한글 2020, 2010)

한글파일에 그림을 삽입하여 문서를 제출하였는데 상대방의 컴퓨터에는 그림파일이 보이지 않는다는 답변을 들을 때가 있습니다. 만약 중요한 문서이거나 과제를 제출했는데 이런 답변을 받는

ahahappy.tistory.com

 

 

반응형

한글 문서프로그램에서 글자 아래 빨간 줄이 생기는 이유

한글 문서를 작성하면서 글자 아래에 빨간 줄이 생기길 때가 있습니다. 아래 그림에서 빨간 박스 안에 보이는 것처럼 문서 작성에 오류가 있을 경우에 나타납니다. 일반적으로 이러한 빨간색 줄은 오타, 띄어 쓰기 등 한글 맞춤법 오류 때문에 발생합니다. 

 

그래서 문서에 빨간 줄이 많이 생기면 맞춤법에 문제가 없는지 확인해서 수정애햐 합니다. 한글 문서 프로그램에서 빨간 줄은 문서의 한글 맞춤법 정확성을 높일 수 있게 도와주는 역할을 합니다. 

하지만 100% 완벽하게 한글 문서프로그램이 문장에서 사용되는 단어의 적절성을 확인할 수는 없기 때문에 간혹 한글 맞춤법을 완벽히 수정하였는데도 불구하고 조금은 빨간 줄이 나타나는 경우가 있습니다.

문서를 출력하거나 파일 형태로 제출하는 경우에는 한 두개의 빨간 줄은 크게 문제가 되지 않기 때문에 그냥 사용하셔도 됩니다.

그런데 간혹 저는 파워포인트나 키노트로 프레젠테이션 파일을 만들 때 [표] 작성은 한글에서 작성하여 캡처 후 옮기는 경우가 있는데 그런 경우 빨간 줄이 그대로 들어 있으면 파워포인트에서 예쁘지 않아 빨간 줄을 없애고 싶다는 생각이 듭니다.

 

한글 문서프로그램에서 빨간 줄 없애는 방법

 

1. 한글 문서프로그램의 맨 위 메뉴바 좌측 끝의 도구를 선택하고, [도구]창이 열리면 아래쪽은 [환경] 설정을 클릭합니다. 한글 2020버전이나 2010 버전 거의 비슷합니다.

한글 2020버전(좌측)과 2010바잔(우측) 

 

2. [환경 설정] 탭이 뜨면 [맞춤법 도우미 작용]을 찾아야 합니다

한글 2020버전은 환경 설정 메뉴탭 맨 우측의 [편집을 클릭하면 나옵니다.(기분 디폴트로 편집 탭이 설정되어 있어서 환경설정을 클릭하면 그냥 자동으로 아래 좌측 그림처럼 나옵니다.)

한글 2010버전은 [환경 설정] 메뉴 탭의 가장 오른쪽 끝의 [기타]를 클릭하면 상단 우측 부분에 [맞춤법 도우미 작동]이 보입니다.

한글 문서프로그램은 유저 사용 편의를 위해 맞춤법 도우미가 기본으로 선택되어 있어 한글 맞춤법을 잘 준수하도록 도와주도록 되어 있습니다.

3. 빨간 줄이 생기지 않도록 하려면 이 [맞춤법 도우미]를 선택 해제하여 체크 표시가 없앱니다.

 

단, 환경설정을 통해 [맞춤법 도우미]를 비활성화시키면 여러분이 문서를 작성할 때 한글 맞춤법 오류가 없는지 신중하게 작성해야 합니다. 

그래서 저는 한글 문서를 캡쳐할 경우에만 잠시 사용하고, 평소에는 맞춤법 도우미를 활성화시킨(선택) 상태로 작업을 진행합니다. 

문서의 맞춤법이 많이 틀리면 내용이 훌륭하더라도 신뢰감이 떨어질 수 있습니다. 

다시 [맞춤법 법] 도우미를 활성화하시려면 앞의 순서대로 메뉴탭 [도구]-[환경설정]-[맞춤법 도우미]를 찾아서 선택해주시면 됩니다. 

더 손 쉬운 방법은 한글 프로그램 [자주 사용하는 메뉴] 탭에서 [가나다 맞춤법] 아래쪽에 세모형 화살표가 보이는 곳에 커서를 두고 살짝 누르면 아래에 [맞춤법 도우미 동작]이 보이는데 이것을 클릭하면 [맞춤법 도우미]가 다시 활성화됩니다.

 

맞춤법 도우미 해제 후 한글 맞춤법 검사하기

 만약 여러분이 필요에 의해서 한글 문서프로그램에서 [맞춤법 도우미]를 해제해 두고 사용하신다면 문서를 완성한 후 반드시 최종적으로 [맞춤법 검사]를 진행하기 바랍니다.

1. 한글 문서프로램 [자주 쓰기] 도구 탭 가운데쯤에 [가나다 맞춤법]을 클릭합니다. 한글 2020, 2010 버전 모두 동일합니다. 

 

2. [맞춤법 검사/교정] 화면이 아래처럼 나옵니다. [시작] 또는 [재시작]을 클릭합니다. [시작]은 문서의 처음부터 시작할 때 나타나고, 검사를 하다가 다른 작업 후에 문서 중간부터 맞춤법 검사를 시작하면 [재시작]이라고 나옵니다. 

 

3. 한글 맞춤법에 오류가 있는 경우 아래 그림과 같이 검사 중인 단어는 검은 바탕으로 나타나고  위에 주황 박스 안에 보이듯이 현재 어떤 단어로 입력되어 있고(2010 버전에서는 바꿀 말), 아래쪽에 대치어(2020 버전에서는 추천 말)가 나옵니다. 어떤 한글 맞춤법 오류가 있는지 중간부분에서 확인할 수 있습니다(초록색 박스 안).

문장에 맞게 대치어(추천 말)가 되어 있으면 [바꾸기]를 클릭합니다. 글자는 바꾸어지고 다음 오타나 맞춤법 문제 있는 곳으로 이동합니다.

만약 대치어나 추천 말이 여러분이 작성한 문장에 적당하지 않다면, 입력어(바꿀 말) 부분에 원하는 단어를 작성하고 [바꾸기]를 하면 됩니다.

 

그 외 맞춤법 활용방법은 다음과 같습니다

[지나가기] 현재 내가 작성한 단어나 띄어쓰기가 문장 상 적당한 경우에는 수정하지 않고 [지나가기]를 합니다.

[모두 바꾸기] 문서를 작성하다가 문서에 쓰인 어떤 단어를 문서 전체에서 바꾸고 싶은 경우 사용합니다. 

 

 

한글 문서 프로그램 표에서 커서 빼내기

한글 문서 프로그램을 사용하다 보면 표 안에서 커서 갇혀서 무슨 쓰더라도 커서가 포 밖으로 나오지 않아서 난감할 때까 있습니다. 

일반적으로 표를 [개체 속성]에서 글자처럼 설정하면 되지만, 무슨 이유에서인지 이렇게 설정하였음에도 커서가 나오지 않는 경우가 있습니다.

커서가 표안에 같혀서 나오지 않으면 아주 난감합니다.

그럼 어떻게 해야 할까요? 그 방법은 의외로 너무 간단합니다.

shift + esc입니다. shift 키를 누른 상태에서 esc키를 누르면 커서가 금방 표 밖으로 나옵니다. 

그리고 혹시 한글문서, 엑셀 문서 보안 설정하는 법이 궁금하시면 아래 글을 참고해주세요~

2021.09.02 - [인터넷다정] - 보안설정: 문서 암호 설정하기(한글 2002 문서, 엑셀 문서)

 

보안설정: 문서 암호 설정하기(한글 2002문서, 엑셀문서)

안녕하세요? 알아두면 쓸데 있는 다양한 정보를 모으고 정리하는 알쓸다정입니다. 오늘은 한글 문서를 작성하다가 개인정보가 있는 내용이라 암호를 설정해야 하는데 이전 한글 프로그램에서

ahahappy.tistory.com

오늘도 소소한 팁이지만 언제가 유용하게 사용하실 날이 있을 거예요. 어쩌다 사용하려고 보면 생각나지 않는 경우가 많아 정리해 놓습니다.

 

 

728x90
반응형